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온도와 습도를 동시에 읽는 회로, 특허로 파헤치다
    전기 전자 분석 시리즈 2025. 5. 2. 15:52

    온도·습도 복합센서 회로 특허 – IoT 환경모니터링 적용의 핵심 기술

    – 스마트 환경 관리의 시작은 센서 회로부터


    1. IoT 환경에서 온도·습도 센서가 중요한 이유

    최근 스마트홈, 산업 자동화, 스마트팜, 헬스케어, 물류 냉장 시스템 등 IoT 기반 환경 모니터링 기술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 가운데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센서가 바로 온도·습도 복합센서입니다.
    온도와 습도는 대기, 장비, 공간, 생물 상태 등 거의 모든 물리적 환경 상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며, 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전송하는 회로 기술은 IoT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좌우합니다.

    기존에는 온도센서와 습도센서를 별도로 설치하는 방식이었지만, 최근에는 온도·습도 통합 센서 회로가 주류를 이루고 있습니다. 통합 센서는 공간 절약, 비용 감소, 회로 간섭 최소화, 디지털 통신 연동의 이점까지 제공하면서 다양한 산업에서 빠르게 채택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복합센서의 성능을 뒷받침하는 것이 바로 회로 설계 기술이며, 관련 특허 출원도 매우 활발한 상황입니다.


    2. 온도센서 회로 설계 원리와 주요 특허 기술

    온도센서는 크게 열저항형(Thermistor), 반도체형(Bandgap 기반), 디지털센서형 등으로 나뉘며, IoT용 센서 회로에서는 주로 소형화가 용이한 반도체 기반 회로가 많이 사용됩니다.

    기본 회로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 온도 감지소자(Thermistor/PN Junction)
    • 신호 증폭 회로(OP-AMP 기반 저잡음 증폭기)
    • ADC (Analog to Digital Converter)
    • 온도보정 회로 및 필터 블록
    • MCU 통신용 디지털 인터페이스 (I2C, SPI 등)

    예를 들어, Texas Instruments의 US9835603B2 특허는 고정밀 온도센서용 OP-AMP 구조를 기반으로, ±0.1°C의 정밀도를 구현한 회로를 특징으로 합니다. 이 특허는 특히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슬립 모드 진입 회로 설계와, 고속 응답성 확보를 위한 입력 필터 구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온도센서 회로 특허는 대부분 측정 정확도, 응답 속도, 저전력 설계, 노이즈 내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최근에는 온도 이력 보정 알고리즘이 내장된 MCU와의 결합 구조 특허도 늘고 있습니다.


    3. 습도센서 회로 구조와 동작 메커니즘

    습도센서는 공기 중의 수분량을 감지하는 센서로,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Type)이 주류를 이루고 있습니다. 이 방식은 수분에 따라 정전용량이 달라지는 폴리머 층을 이용하여 상대 습도를 감지합니다.

    회로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정전용량형 습도 감지소자 (Polymer-based Sensor Plate)
    • 신호 변환 회로 (Oscillator 또는 Capacitance-to-Voltage 변환기)
    • 신호 증폭 및 필터링 회로
    • ADC 또는 PWM 출력 변환기
    • 보정용 EEPROM 저장회로 및 MCU 인터페이스

    습도센서 특허는 특히 결로 방지용 히터 회로 통합, 소자 수명 연장 회로, 보정 알고리즘 회로화, 온도-습도 상호보정 알고리즘 회로 설계 등을 중심으로 출원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특허로는 Sensirion사의 EP2828437A1이 있으며, 온도와 습도를 교차 보정하여 정확도를 ±1.5%RH 수준으로 높인 구조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4. 복합센서 회로 통합 기술과 응용 사례

    복합 센서 회로 설계는 단순히 온도와 습도 신호를 합치는 수준이 아니라, 하나의 센서 칩에서 데이터를 동시에 측정, 처리,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핵심입니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통합 기술이 적용됩니다:

    • 공통 전원 회로 및 소비전력 최적화 설계
    • 온도·습도 간 상호영향을 제거하는 디지털 필터 회로
    • 센서 출력값을 동기화하는 동기 ADC 블록 설계
    • 단일 MCU에서 데이터 처리 및 IoT 모듈로 전송하는 통신 구조 (BLE, Zigbee, LoRa 연동)

    실제 적용 사례로는 스마트팜에서의 작물 온습도 감지기, 실내 공기질 관리 시스템, 냉장물류 IoT 태그, 스마트워치 기반 체온·습도 트래커 등이 있습니다. 특히 국내에서는 한양대학교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공동 개발한 “스마트 패치형 환경 센서 회로” 관련 특허가 등록되어 있으며, 해당 회로는 피부 온도와 주변 습도를 동시에 감지해 의료용 모니터링에 활용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5. 특허 전략과 향후 기술 방향

    IoT 시대에 온도·습도 복합센서 회로 특허는 단순한 측정 기능을 넘어, 디지털 신호처리 기술, 알고리즘 기반 자가보정 구조, 초저전력 동작을 위한 전원 관리 회로, 엣지 컴퓨팅 환경에 맞춘 인터페이스 회로 설계까지 포함되어야 경쟁력을 가질 수 있습니다.

    향후 특허 전략은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전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자율보정 + AI 학습 기반 센서 회로 (딥러닝으로 오차율 개선)
    • 소형화 센서 + 에너지 하베스팅 회로 통합형 SoC
    • 스마트빌딩, 스마트시티용 대규모 통신 인터페이스 회로
    • 환경 규제 대응용 실시간 로깅 시스템 내장 회로 구조 특허

    결국, 온도·습도 복합센서 회로는 IoT 제품의 뇌 역할을 하는 핵심 모듈로, 해당 회로에 대한 특허 확보는 단순 보호가 아닌 시장 진입 허가와 브랜드 신뢰도의 근거가 됩니다. 에너지 효율, 실시간 대응성, 데이터 처리 효율성을 모두 고려한 고성능 센서 회로 특허 전략은 앞으로 IoT 시대 기술 선도를 위한 필수 자산이 될 것입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