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지문을 읽는 회로는 다르다 – 정전식 vs 광학식 완전 분석
    전기 전자 분석 시리즈 2025. 5. 2. 13:36

    정전식 vs 광학식 지문인식 회로 특허 비교 분석
    – 스마트 인증 기술의 핵심, 회로 구조와 특허 전략을 중심으로

    1. 지문인식 센서 기술의 개요와 발전 배경
    지문인식 기술은 스마트폰, 스마트카드, 보안 시스템, 출입 통제 장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생체정보 기반 인증 수단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특히 지문인식 센서 회로는 생체인식 기술의 정밀성과 보안성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로, 이 회로의 설계 방식에 따라 인식 정확도, 속도, 오작동률이 결정됩니다.

    현재 시장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됩니다:
    바로 정전식(Capacitive) 지문인식 센서와 광학식(Optical) 지문인식 센서입니다.
    정전식 방식은 미세한 전기 용량의 차이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소형화와 고속 응답에 강점을 가지며, 광학식은 빛의 반사와 굴절을 통해 지문 패턴을 인식합니다.

    이러한 기술은 단순한 하드웨어를 넘어, 특허 기반의 알고리즘, 센서 배치 설계, 노이즈 차단 회로, 그리고 보안 프로토콜과 함께 진화해왔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지문센서 특허가 기업의 기술 차별화와 라이선스 경쟁력 확보에 있어 핵심 자산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2. 정전식 지문인식 회로의 구조와 특허 포인트
    정전식 지문 센서는 사용자의 지문이 센서에 접촉했을 때 생기는 미세한 정전용량 차이를 기반으로 동작합니다. 손끝의 융선은 센서 전극과의 거리를 좁히고, 골 부분은 거리를 더 크게 만들어 서로 다른 전기 용량 값을 발생시킵니다. 이를 감지하고 분석하여 고유한 지문 이미지를 생성합니다.

    대표적인 회로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 CMOS 센서 어레이: 지문 융선/골을 감지하는 고해상도 전극 배열
    ✅ 전하 증폭 회로: 정전용량 변화에 따른 미세 전류를 증폭
    ✅ ADC 회로: 아날로그 값을 디지털로 변환
    ✅ DSP 및 필터 회로: 지문 이미지 생성, 잡음 제거, 패턴 인식
    ✅ 보정 회로: 온도, 습도, 접촉 압력 등의 외부 요인 보정

    정전식 지문 센서 특허의 주요 초점은 정확도 향상과 회로 집적화에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의 특허 KR102055477B1은 다중 전극 보정 회로를 통해 화면 하단(FoD)에 삽입된 정전식 센서의 인식률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Synaptics, Goodix 등 글로벌 업체들은 센서와 디스플레이 통합 구조, AI 기반 오작동 감지 알고리즘, 초저전력 회로 설계 등을 중심으로 특허 경쟁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3. 광학식 지문인식 회로의 구조와 기술 방향
    광학식 지문 센서는 손가락에서 반사된 빛을 통해 지문 이미지를 생성합니다. 일반적으로 LED 또는 OLED 광원이 센서 아래에서 빛을 비추고, 지문 융선에서 반사된 빛이 포토다이오드(Photodiode) 수광부로 수집되어 이미지가 형성됩니다.

    회로 구성은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 광원 모듈: 주로 LED, OLED 광원 또는 적외선 소자
    ✅ 광 반사 경로 설계: 렌즈, 미러, 파장 필터 등
    ✅포토센서 어레이: 반사광을 감지하여 아날로그 전기 신호로 변환
    ✅ 이미지 프로세서 IC: 고해상도 지문 이미지 생성 및 보정
    ✅ 잡음 제거 회로: 외부광 간섭 제거 및 명암 대비 향상 처리

    광학식 센서의 핵심은 광 경로 최적화와 저전력 이미지 프로세싱 회로 설계에 있으며, BOE, EgisTec, Qualcomm 등은 디스플레이 하단 삽입을 위한 초박형 광학 센서 특허를 다수 보유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CN110332786A는 OLED 픽셀 간 간섭 없이 센서 신호를 확보하기 위한 반사광 최적화 회로를 특허화한 사례입니다.

    광학식 방식은 비교적 해상도가 낮고 보안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으나, 광범위한 면적 적용, 곡면 디스플레이 호환 등에서 유리하며, 고급 보정 회로와 AI 보안 알고리즘을 함께 적용하여 성능을 보완하고 있습니다.

    4. 정전식 vs 광학식 – 기술 비교와 특허 흐름



    정전식 센서는 회로 기반 설계에 유리하고, 소형화, 저전력, 속도에서 강점을 가지며,
    광학식은 디스플레이 일체형 구성과 시각적 센싱 능력에서 유리합니다.

    각 기업은 자사 제품 전략에 따라 두 기술을 단독 또는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채택하고 있으며, 특허 포트폴리오도 제품 포지셔닝에 따라 크게 차별화되고 있습니다.

    5. 기술 전망 – 하이브리드 센서와 AI 기반 보안 회로로 진화
    향후 지문인식 회로 기술은 단일 방식에서 벗어나,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진화할 가능성이 큽니다. 예컨대, 정전식 + 광학식, 정전식 + 초음파식 센서를 하나의 회로 보드에 통합하여 정밀도와 보안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방향으로 발전 중입니다.

    또한 AI 기반 보안 알고리즘과 연동된 지문 센서 회로가 등장하면서, 단순한 인증 수단을 넘어 사용자 행동 분석, 심박 감지, 피부 상태 분석 등 헬스케어 기능까지 연계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일부 특허는 지문 인식 중 피부의 온도나 수분 상태를 감지해 인증 정확도를 높이는 기술도 제안하고 있습니다.

    정전식과 광학식 지문센서의 특허 흐름을 지속적으로 추적하고 분석하는 것은, 향후 스마트폰, 보안 기기, 생체 인증 솔루션 분야에서의 기술 우위를 예측하고 대비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작업입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